메뉴 버튼

마이페이지

Message Board

[온라인강의] 문의 1940번 추가 질문
한*아2024.03.04답변완료

교수님 수고 많으십니다. 온라인 Q&A 문의1940번 추가 질문에 대한 설명 부탁드립니다.

 

 

답변강희중2024.03.04 20:03

공조냉동기계기사 실기 46페이지 냉동공학 기출문제분석 04번 문제에 대한 답변

 

네, 다시 한 번 정리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.

3)번 문항 압축기 축동력 계산 시 압축효율과 기계효율을 적용하여 계산하는 것은 이해하신거죠?

여기서 압축효율은 실제 압축할 때 더 소비되는 일량으로 토출가스의 영향을 줍니다.

기계효율은 압축기가 기계적으로 운전되면서 발생되는 손실로 토출가스 엔탈피 증가와 관계가 없습니다. 

 

따라서 응축부하계산 시 실제 응축부하가 Q1=G×(h2'-h1)/ηc 인 이유

(기계효율을 나누지 않는 이유)

실제 압축 시 압축기 토출가스의 엔탈피 증가는 압축효율에 의해 증가되기 때문이고

기계효율은 그 이후 기계적인 손실에 의해서 축동력 증가에만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.

즉, 기계적인 손실은 토출가스 엔탈피 증가와  관계가 없습니다.

 

따라서 축동력은 전체 손실로 압축효율과 기계효율 다 적용하는 것이고

응축부하는 압축효율만 적용하는 것입니다. 

기계효율은 관여하지 않는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.

 

다음 v=0.14[m3/kg]로 비체적입니다. 선도상 엔탈피는 kg 기준이기 때문에 주어진 체적에 비체적을 나누어서 kg으로 환산한 것입니다.

(단위 시간당 질량유량)

추가 질문 있으시면 또 질문 하시기 바랍니다.

TOP