메뉴 버튼

마이페이지

Message Board

[온라인강의] 과년도 기출문제 2015년 2회 10번 2019년 3회 9번
이*춘2022.05.04답변완료

강의를 들어보면 2015년 외기부하 구하는 문제에 있어

G0(h2-h1)/3600가 아니고 G0(h2-h3)=G(h2-h4)로 하라고 하셨는데

 

2021년 교재에는 G0(h2-h1)만 있고요.

2022년 교재에는 G(h2-h4)+예열부하한 것과 똑 같다고 했는데...

 

2019년 3회 9번 설명 하실때는 예열부하가 있기떄문에 G(h2-h4)를 쓰면 안된다고..

 

최종적으로 맞는건 2022년 교재가 맞는 건가요?

 

답변조성안2022.05.05 10:03

네....

1) 외기부하는 외기량과(실내-외기) G0(h2-h3) 로구하는게

     정석(기본)입니다...

 2) 그런데 전체 급기량(실내송풍량)을 이용해서도 많이 계산합니다..

      그때는 전체 급기량(혼합-실내) G(h2-h4) 입니다..

  3)  그 이유는 알지요? 혼합점이 (외기:환기) 혼합비로 나오기 때문에

       G0(h2-h3)=G(h2-h4) 는 결국 같은 값이지요...

  4)  다만 예열(예냉)코일이 있을때는 외기부하를 2가지로 해석합니다..

         (1) 순수한 외기부하(전체 외기부하) : 이때는 위처럼 해석합니다..

         (2) 본 코일에서 제거되는 외기부하 (예냉코일을 제외한 본코일에서

              제거되는 외기부하) : 이때는 예냉코일을 지난 상태를 외기점으로

              보고 외기부하를 해석합니다.  

        ** 주로 (1)처럼 전체 외기부하 해석을 다루니까 그걸 알아두세요..

시험..잘.. 보세요...

TOP