메뉴 버튼

마이페이지

Message Board

[온라인강의] 2015년 제2회 10번 제 4번 문항
이*희2022.04.14답변완료

교수님 동영상에서 말씀하신 외부부하를 구하는 해설은
ㅇ외기부하 G0(h2-h3)=21375*0.25*(38-24)/3600 20.78kw
또는 G(h2-h4)=21375*(38-34.5)/3600 20.79kw 로 하셨는데

2022년 구입한 실기책은
ㅇ외기부하 G0(h2-h1)=21375*0.25*(38-14)/3600 35.625kw
또는 G(h2-h4)+예열부하=21375*(38-34.5)/3600 + 14.84 35.625kw 로 되어 있습니다

어느것이 맞는것인지 설명 부탁드립니다

 

답변조성안2022.04.14 10:36

네...외기부하는 외기를 도입할때 실내와의 엔탈피차로 발생하므로 원칙은

 외기량과 외기-실내 엔탈피차 입니다..

즉,,, G0(h1-h2)=G(h3-h2)      h1:외기  h2 : 실내  h3 :혼합

위에서 외기량이 아닌 전체 급기량으로 외기부하를 구할때는

혼합점과 실내점 엔탈피차를 이용합니다..그 이유는 아시죠?

혼합점이 외기량의 비율에 따라서 선정되므로 위 식과 같이 그 값은 같아집니다..

다만,,,예열코일이 있을때는 예열코일의 부하를 어떻게 처리하느냐에 따라 코일의 외기부하는 달라집니다..

1) 전체 외기부하는 예열코일이 없다면 위 식으로 구할수 있고요..

2) 예열 코일이 있다면 외기부하는 예열코일에서 가열량과

     본코일에서 가열량을 더하여 구할수 있고요..

     본코일에서의 외기부하를 구하시오 하면 예열코일에서 가열랴을 무시하고

     본코일에서  h2 : 실내  h3 :혼합  을 이용한  G(h3-h2)  식으로 구할수 있습니다..

좀 복잡하게 설명드렷는데..결론은  아래식만 알아두어도 될겁니다..      

  G0(h1-h2)=G(h3-h2)      h1:외기  h2 : 실내  h3 :혼합

즐공하세요....

TOP