메뉴 버튼

마이페이지

Message Board

[온라인강의] 현열식 전열식 관련 질문드립니다
손*호2021.10.14답변완료

1) 2019년도 3회 9번에서 실내 송풍량을 구할 때 전열식을 사용하는 이유가 실내취출온도차를 모르고 엔탈피를 사용하기 때문인지 순환수를 분무하기때문에 잠열부하도 발생하기때문인지 궁금합니다.

 

2) 그 외에도 공기량을 구할 때 공기와 공기가 열교환할 때는 현열식을 사용하고 공기와 물이 열교환할때는 전열식을 사용해서 구하는건가요? (2018년도 3회 11번)

답변조성안2021.10.14 19:30

예...조성안입니다..

한교수님 개인사정으로 대신 답변드립니다..

1) 송풍량은 기본적으로 열평형식으로 구합니다..

   현열부하=mct,     전열부하=mh

   그런데 주어진 조건에 따라 위 2식중에서 선택하면 됩니다..

  이 문제는 조건에 엔탈피 만 주었으므로 엔탈피로 풀어야합니다..

2) 이것도 마찬가지입니다... 

   공기든 물이든,,, 현열부하=mct,     전열부하=mh  성립합니다..

   - 코일에서 공기 온도만 변화(가열) 할때는 현열부하만 관계하므로

     위 현열식을 쓰고요...

   - 냉각할때(냉각코일, 팬코일 등)는 결로수가 발생하여 잠열도 제거 되므로

     이때는 전열부하와 엔탈피(냉수 온도차)로 해석합니다...그런데 팬코일은 전열부하(현열+잠열) 이고 냉수는 온도차를 적용합니다.. 이게 조금 이해하기 어려울겁니다.. 냉각코일에서 공기는 전열이 제거되지만 냉수는 그 전열을 온도차로 제거 합니다..그래서 전열부하=냉수 WCt 이렇게 식을 세워야합니다.

시험 잘보세요... 

 

   

TOP